서울대 입학자의 지역별 편중이 우려할만한 수준이며 이는 수시보다는 정시에서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교육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박경미 의원이 서울대로부터 제출받은 <2017~2019학년도 서울대학교 최종등록자 현황> 자료를 분석한 결과, 최근 3개년도(2017학년도~2019학년도) 입학생(최종등록자 기준)의 시군구별 인원 평균은 14.31명이었고, 그 중앙값은 4.00명이었다.

참고로 중앙값은 시군구별 입학생 수에 따라 순서대로 나열했을 때 정중앙에 오는 값이므로, 평균이 중앙값보다 크다는 것은 입학생 수가 적은 시군구가 다수이고 몇 개의 시군구가 입학생을 많이 내는 편향된 분포라는 것을 의미한다.

전국 230개 전국 시군구 가운데 최근 3년 동안 가장 많은 서울대 입학생을 배출한 곳은 강남구였으며, 이어 종로구, 서초구, 용인시 순으로 비중이 높았다. 상위 20개 시군구의 누적 입학생이 전체 입학생의 절반이 넘는 51.8%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강남구와 서초구의 입학생이 서울대 전체 입학생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10%에 이른다. 그런데 이는 학교의 소재지를 기준으로 한 통계로, 실제 학생의 거주지를 감안한다면 강남·서초 집중은 더욱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입학전형별로 보면, ‘정시’의 경우 역시 강남구의 비중이 가장 높았으며 이어 서울 서초구, 경기 용인시, 서울 양천구 등 사교육 과열지구의 비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상위 20개 지역의 누적 비율은 63.2%로 더 높아진다. 즉 230개의 시군구 중에서 상위 20개 시군구가 서울대 입학생의 2/3 정도를 배출하고 있는 것이다.

‘수시(일반전형)’의 경우 종로구, 강남구, 수원시, 광진구, 은평구, 유성구 순으로 특목고와 자사고가 위치한 지역의 비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상위 20개 지역의 비중은 전체 입학자의 절반을 넘는 58.7%를 차지했다.

이에 비해 수시 지역균형선발의 경우 전체적으로 고르게 분포하고 있다. 상위 20개 지역이 입학자 전체의 37.1%를 차지했다. 정시나 수시 일반전형은 지역별 편중이 심한 반면, 수시지역균형선발은 지역적으로 고르게 분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로렌츠 곡선은 어떤 분포의 편중도를 나타내는 지표로 널리 사용되는데, 대표적인 예가 소득불평등도를 나타낼 때 사용하는 지니계수이다. 이 방법 차용하여 ‘지역별 편중도’를 구할 수 있는데, 각 시군구가 학생수에 비례해서 서울대 입학생을 배출했다면 편중도는 0이 되고, 하나의 특정 시군구에서만 입학생을 냈다면 편중도는 1이 된다. ‘지역별 편중도’는 0과 1 사이의 값을 가지며, 0에 가까워질수록 균등한 분포이고, 1에 가까워질수록 편포되어 있다는 의미이다.

최근 3년간 230개 시군구의 입학생을 일렬로 배열했을 때 만들어지는 곡선과 완전 균등 분포일 때의 직선 사이에 만들어지는 영역을 기준으로 ‘지역별 편중도’를 구한 결과, 2017학년도 0.488, 2018학년도 0.477, 2019학년도 0.476로 3년간 ‘지역별 편중도’가 크게 변화하지는 않았지만 점진적으로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정시와 수시 중 어떤 전형이 더 균등 선발의 성격이 강한지에 대한 여러 해석이 있는 가운데, 지역별 편중도는 객관적인 지표가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분석결과, 정시의 지역별 편중도가 수시의 지역별 편중도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수시 일반전형의 편중도는 정시보다 약간 낮으며, 수시 지역균형은 편중도가 0.3대로 매우 낮아, 지역균형을 맞추기 위한 전형의 본질에 충실하게 운영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대해 박경미 의원은 “대학의 책무 중의 하나는 다양한 지역, 다양한 배경의 학생들이 선발해서 계층간의 역동적인 상호작용이 일어나고 사회 통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라며, ‘지역별 편중도’를 완화할 수 있도록 지역균형과 기회균형 선발이 지금보다 확대되거나 적어도 그 비중은 유지돼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새한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