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말 개각이 기정사실화하는 분위기다. 총선 출마 장관들의 공직사퇴 시한(내년 1월16일)과 국회 인사청문회 일정 등을 감안하면 내달 10일을 전후해 이낙연 국무총리와 장관 5∼7명이 교체될 전망이다. 8·9 개각에 이어 4개월 만의 개각이 된다. 차기 총리 후보는 더불어민주당 김진표·원혜영 의원과 진영 행정안전부 장관 등으로 압축됐다고 한다. 공석인 법무부 장관으로는 민주당 추미애·전해철 의원이 거론된다.

이번 개각 하마평에 오르는 인사들은 대부분 내년 4월 총선과 연관돼 있다. 이 총리는 민주당으로 복귀해 선거대책위원장을 맡고 총선에 출마할 것으로 보인다. 민주당은 상당수 장·차관급 인사도 총선에 차출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이해찬 대표는 최근 강경화 외교부 장관과 정경두 국방부 장관에게 직접 출마 의사를 타진한 것으로 전해진다.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성윤모 산업통상부 장관 차출설도 흘러나온다. 강 장관 등 몇몇 인사에 대해서는 경합지역에서 여론조사 가상 대결까지 진행했다고 한다. 유은혜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김현미 국토교통부 장관도 출마 예상자 명단에 꾸준히 오르내린다.

이번 개각은 단순히 장관들의 총선 차출에 따른 빈자리 메우기 인사가 돼선 안 된다. 민주당에선 총선을 앞두고 ‘현역 물갈이’ 논의가 한창인데, 공천을 받지 못하는 현역의원들과 자리바꿈을 할 수 있다. 그럴 경우 이번에도 내각과 국회 사이의 ‘회전문 인사’ 또는 ‘보은 입각’이라는 비판이 쏟아질 것이다. 이번 개각은 임기 후반기에 들어선 만큼 내각과 국정운영 전반에 활력을 불어넣는 인사가 돼야 한다. 침체에 빠진 경제와 불안한 외교안보 등 국정 난맥상을 냉철하게 점검하고 정책 기조를 전환하는 계기로 삼아야 할 것이다. 그러려면 청와대 참모진 개편도 병행할 필요가 있다.

개각 하마평이 나돈 게 한달이 훌쩍 넘었다. 개각이 불가피하다고 판단했으면 검증 작업에 속도를 내 시기를 최대한 앞당겨야 한다. 그래야 국정 혼선과 공직기강 해이를 최소화할 수 있다. 청와대는 혹독한 대가를 치른 ‘조국 사태’의 후유증으로 국회 인사청문회에 부담을 느끼는 분위기다. 이념과 진영을 고집하지 않으면 ‘청문회 공포’는 상당 부분 극복할 수 있다. 중도 성향 인사와 합리적 보수 인사들로 인재풀을 넓혀 탕평인사를 가미하면 국정이 안정되고 내각에 대한 신뢰도 높아질 것이다.

저작권자 © 새한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