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신규 환자가 발생했다. 영남권 첫 환자다. 이 31번 환자는 29·30번 환자와 마찬가지로 해외여행력과 확진자 접촉력이 없다. 감염원과 감염 경로를 알 수 없는 환자가 잇따라 발생해 지역사회 감염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이들은 확진 전에 지역 의료기관들을 방문한 것으로 드러나 병원 내 감염 공포도 확산되는 형국이다.

방역망 밖 환자가 속출함에 따라 만에 하나 코로나19 대유행이 현실화할 가능성에도 대비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이제 공항 검역 강화와 환자 접촉 차단 중심의 기존 방역체계는 실효성에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방역망을 더 넓고 두텁게 보수하는 것이 급선무다. 무엇보다 29·30·31번 환자에게 바이러스를 옮긴 사람들이 감염 사실조차 모른 채 다니며 슈퍼 전파자가 되는 사태는 막아야 한다.
방역 전략을 전면 수정해야 할 때다. 감염자를 조기에 찾아내 2·3차 감염을 최소화하는 쪽으로 기조를 전환해야 한다.

면역력이 약한 고령층과 요양병원 환자 등을 대상으로 진단검사를 확대하는 일부터 서둘러야 한다. 방역 당국은 “국내외 상황을 반영할 때 코로나19 발생은 새로운 국면을 맞이하고 있다”면서도 “29·30번 환자의 역학조사 결과를 본 뒤 판단하겠다”고 했다. 이처럼 머뭇거리다간 실기할 수 있다. “지역사회 전파를 인정하고 전략을 바꾸라”는 전문가들의 의견에 귀 기울여야 할 것이다. 늑장·부실 대응으로 지역사회 감염이 확산되고 있는 중국·일본 등의 전철을 밟아선 안 된다.

개학에 맞춰 입국하는 중국인 유학생 관리도 발등의 불이다. 교육부는 각 대학에 입국 후 14일간 자율격리 조치를 지시했지만 대학들은 공간·인력·예산 어느 것 하나 여의치 않은 실정이다. 자율격리가 방역 구멍으로 이어지지 않을까 걱정스럽다. 정부가 대학에 중국인 유학생 관리를 떠넘기는 건 직무유기가 아닐 수 없다. 이제 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가 실효성 있는 대책을 내놓고 지원에 나서야 한다. 문재인 대통령은 최근 “코로나19 사태는 사스·메르스 때보다 충격이 훨씬 크고 길다”며 특단의 대책과 파격적 수준의 지원을 주문했다. 모든 정부 부처는 비상시국이라는 인식을 갖고 가용 정책수단을 총동원해 신속히 대처해야 한다.

저작권자 © 새한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