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가 코로나19 확산을 막기 위해 전국 유치원과 초중고 개학을 4월6일까지 2주간 연기했다. 지난달 23일 1주일 연기, 지난 12일 2주일 연기 발표에 이어 세 번째 연기다. 정부는 “안전한 개학이 가능한지를 판단하기 위해 최소 2~3주의 시간 확보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휴업 장기화에 따른 대입일정 변경도 검토하고 있다. 정부는 시도 교육청과 학교에 5주 휴업 중 4주차 이후 휴업일을 법정 수업일수에서 감축하고, 그에 맞는 수업시수 감축도 허용하기로 했다. 보건복지부도 어린이집 휴원을 4월5일까지 2주간 연장했다.

초유의 4월 개학이 현실화했지만 불가피한 조치다. 서울 구로구 콜센터와 경기 성남 은혜의강 교회에서 보듯 학생들이 밀집한 교실에선 바이러스 전파 가능성이 높다. 전국적인 코로나 확산세가 둔화되고 있지만 유아·청소년 확진자는 증가추세다. 지난 7일 379명이던 유아·청소년 확진자는 500명을 훌쩍 넘겼다. 학생이 감염되면 학교를 시작으로 가정을 거쳐 사회로 확산될 우려가 크다.

지금부터가 중요하다. 정부는 추경 예산 2500억원을 긴급돌봄, 온라인 학습운영, 방역물품 준비 등에 우선 활용하는 등 행정·재정 지원책을 제시했지만 기존 대책에서 진전된 내용을 찾기 힘들다. 긴급돌봄 서비스는 부실한 프로그램과 안전에 대한 불안감으로 학부모로부터 외면받고 있다. 원격학습을 통한 학습공백 방지도 새로울 게 없다.

‘사회적 거리 두기’의 사각지대에 놓인 학원도 발등의 불이다. 학교 대신 학원으로 학생들이 몰릴 경우 감염 리스크가 커질 게 뻔하다. 전국 학원과 교습소 휴원율은 40%대로 떨어졌고, 서울은 10~20%대에 그친다. 유은혜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학원 휴원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을 경우 대책을 강구하겠다”고 압박했지만 실효를 거둘지 의문이다.

학교는 감염병으로부터 지켜야 할 최후의 보루다. 학사일정과 입시가 안전보다 우선할 수는 없다. 학생이 안심하고 등교하도록 하는 게 교육당국의 의무다. 충분한 준비기간에도 사이버 강의 먹통사태를 초래한 대학들을 반면교사로 삼아 세밀한 돌봄대책과 재택교육 프로그램 등을 마련해야 한다. 교육부는 코로나19 확산 추세에 따라 개학일을 탄력적으로 조정하겠다고 했다. 4월6일이라는 시한에 얽매일 필요는 없다. 교육부 차관을 단장으로 한 ‘신학기 개학준비추진단’이 사전준비를 끝냈다고 판단하면 그때 개학해도 늦지 않다.

저작권자 © 새한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