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대 총선 선거전이 후보등록과 함께 본격화됐다. 4월2일부터 14일 자정까지 선거운동을 벌인다. 이번 총선은 여의도 권력 재편을 넘어 문재인정부 중간평가, 2022년 대선 전초전 등의 성격을 지닌다. 하지만 코로나19 탓에 선거가 좀처럼 유권자들의 관심을 끌지 못하고 있다. ‘사회적 거리 두기’로 인해 투표율이 역대 최저를 기록할 것이라는 전망까지 나온다. 거대 양당이 비례위성정당에 대한 ‘의원 꿔주기’에 나서는 등 막장·꼼수정치를 일삼은 점도 유권자들의 정치 혐오증을 증폭시켰다.

더불어민주당과 미래통합당의 비례당 이전투구에 여론의 비난이 집중된 틈을 타 비례대표로 또다시 등원을 노리는 ‘올드보이’들이 늘고 있는 점도 실망스럽다. 민생당 공천관리위원회는 비례대표 2번에 손학규 상임선대위원장을 배치하기로 정해 논란이 일고 있다. 손 위원장은 당초 ‘백의종군’을 약속했다. ‘태극기 세력’을 기반으로 하는 우리공화당의 비례후보 2번은 ‘친박 맏형’으로 불리는 8선의 서청원 의원이 차지했다. 그간 비례대표는 청년, 여성, 장애인 등의 대표나 각계 전문가에게 배려하는 전통이 이어져 왔는데 이마저도 후퇴하는 것 같아 안타깝다.

통합당이 공천 막바지에 극심한 파열음을 낸 것은 정당 민주주의의 퇴행이어서 볼썽사납다. 황교안 대표는 그제 새벽 최고위원회의를 열어 4개 지역구에 대한 공천관리위원회의 공천 결정을 전격 취소했다. 결정이 번복된 지역구 대부분은 황 대표 측근이 탈락하거나 황 대표에게 반기를 들었던 김세연 공천관리위원과 관련된 지역구다. 이에 공관위는 황 대표의 최측근인 민경욱 의원에 대한 공천 취소로 맞대응했고, 황 대표는 다시 심야 최고위원회의를 열어 민 의원 공천을 재확정했다. 당 대표와 공관위가 정면충돌하는 ‘공천 난장’이 벌어진 것이다. 통합당은 얼마 전에는 위성정당인 미래한국당의 비례대표 선정을 놓고도 홍역을 치렀다.

정치 현실은 이처럼 참담하지만 선거를 외면해선 안 된다. 민의의 수준은 투표율로 드러나게 마련이다. 긍정적이든 부정적이든 ‘정권 심판’ 결과가 향후 국정에 충실히 반영될 때 비로소 ‘선거=민주주의 꽃’이라는 등식이 성립된다. 유권자들은 지금부터 각 당의 선거운동을 주시하면서 후보자 인물검증을 해야 한다. 각 당의 공약과 정책이 무엇인지 알아보고 후보자들을 냉철하게 비교해야 한다. 그리고 반드시 15일 및 사전투표 참여해 유권자의 권리를 올바로 행사해야 한다.

저작권자 © 새한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