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가 오는 9일부터 고등학교 3학년과 중학교 3학년을 시작으로 초·중·고 온라인 개학을 순차적으로 한다고 발표했다. 6일로 예정됐던 개학이 또다시 연기되는 것으로, 이번이 네 번째다. 온라인 개학은 사상 처음이다. 대학수학능력시험은 12월3일로 2주 연기되고, 대입 수시 학교생활기록부 작성 마감일도 9월16일로 16일 늦춰졌다.

학교가 코로나19 집단감염의 진앙이 되는 사태를 막으려면 온라인 개학은 불가피하다. 문제는 온라인 원격수업 환경이 갖춰지지 않았다는 데 있다. 실시간 쌍방향 수업이 가능한 학교가 1%도 안 되고, 사전 녹화 강의도 장비가 없어 엄두를 내지 못하는 학교가 수두룩하다. 컴퓨터·모바일 환경을 갖추지 못한 저소득층·농어촌 학생에게 장비를 지급하는 것도 화급한 과제다. 이런데도 교육부는 각 가정의 스마트폰·컴퓨터 등의 보유 현황조차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고 있으니 답답한 노릇이다.

지난 한 달간 허송세월하다 졸속으로 온라인 개학을 밀어붙이는 교육부의 무능과 나태를 질타하지 않을 수 없다. 교육부는 지난주에야 부랴부랴 원격수업 운영 기준안을 마련해 배포했다. 온라인 개학이 예견됐는데도 손 놓고 있었던 것은 용납하기 어렵다. 교육부는 원격수업 콘텐츠를 확충하고 장비를 보강하겠다고 공언했지만 단기간에 가능할지 의문이다. 선제적 대책을 내놓지 못하고 매번 늑장 대처로 혼란을 키우는 교육부의 구태는 고쳐지지 않고 있다.

지금껏 한 번도 가지 않은 길을 가게 되는 학생과 학부모, 교사들은 걱정이 태산이다. 예행연습을 제대로 해보지 않은 채 온라인 개학을 맞게 돼 우려를 더한다. 학습기기가 지급된다고 해도 온라인 수강을 도와줄 사람이 없는 맞벌이 부부 자녀나 발달장애 학생들에게는 그림의 떡이 될 수 있다. 교육부는 온라인 수업에 사각지대가 발생해 교육에 소외되는 학생이 없도록 빈틈없이 준비해야 한다. 무엇보다 디지털 환경 격차에 따라 상위계층과 취약계층 학생 간 학습 격차가 벌어지는 것을 막는 데 주안점을 두어야 한다.

온라인 개학 이후 학부모들이 사교육에 더 의지할 개연성이 높아졌다. 학원발 집단감염 사태가 벌어지면 온라인 개학의 취지도 반감되는 만큼 학원도 사회적 거리두기에 동참해야 할 것이다. 유치원·어린이집 개원은 무기한 연기돼 맞벌이 부모 등이 발을 동동 구르고 있다. 정부는 보육에 차질이 없도록 긴급대책을 서둘러 마련해야 한다.

저작권자 © 새한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