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의 유행은 전 세계에서 여전히 진행 중이다. 특히 우리나라는 항체 보유율이 낮아 언제든지 2차 대유행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어 대비해야 한다. 이와 함께 새로운 감염병의 유입이나 고령화로 인한 의료 수요 증가에도 대비해야 한다. 이 과정에서 ‘의사’의 역할은 너무도 중요하다. 언제 다시 찾아올지 모르는 위협으로부터 국민들의 안전과 생명을 보호하기 위해서는 그간 유지되어 온 의사 인력 양성의 문제점을 점검하고 보완해 나가는 것이 필요한 시점이다.

의사 인력 부족은 오래전부터 제기되어 온 문제이다. 2020년 7월에 발표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통계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임상 의사 수는 한의사를 포함하여 인구 1000명당 2.4명으로 OECD 평균인 3.5명의 70% 수준이다. 특히 많은 의사들이 대도시에서 활동하고 있어, 중소도시나 농어촌 의료기관에서는 의사를 구하기가 어려운 실정이다.

코로나19 대응에 중추적인 역할을 한 역학조사관이나 중증외상 등 특수분야의 의사들 역시 부족하다. 질병관리본부의 의사 역학조사관은 정원 13명 중 5명에 불과하며, 소아외과 전문의는 전국에 48명이 전부이다. 코로나19 환자를 치료하고 병원의 감염 관리를 전담할 감염내과 전문의도 전국에 250명 수준이며, 이마저도 대부분 대도시에 근무하고 있어 지방에서는 더욱 찾아보기 어렵다.

코로나19의 극복을 위한 백신·치료제 개발에 몰두할 의사과학자도 역시 부족하다. 우리나라 대부분의 의사들은 임상분야에 종사하고 있으며, 기초의학이나 백신·신약 개발 등 바이오헬스 분야에 종사하는 의사들은 매우 드물다. 임상 현장에서의 수요가 연구·개발로 이어지고 이것이 다시 환자들에게 적용되어 의료기술의 발전으로까지 이어지기 위해서는 의사과학자들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상황을 감안해 정부는 2022년부터 10년간 한시적으로 입학 정원을 400명씩 증원해 최대 4000명의 의사를 추가적으로 양성하고자 하는 ‘의과대학 정원 확대 추진 방안’을 발표했다. 여기에는 의료 취약지역의 의사 공백을 해소하고, 역학조사관·중증외상·소아외과 등 특수분야 의사를 양성하며, 향후 의과학을 이끌어나갈 핵심 인재를 육성하고자 하는 내용이 포함돼 있다. 의대 정원의 확대는 출발점일 뿐이다. 의사들이 적재적소 필요한 곳에서 활동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정책 지원이 요청된다.

저작권자 © 새한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