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다음달 11일까지 유치원과 초·중·고교, 특수학교의 등교 수업을 전면 원격수업으로 전환한다. 코로나19 대유행 위기에 따라 전국적으로 등교수업을 중단한 학교가 순차등교 이후 가장 많은 2100곳에 달하고, 이 중 수도권이 40%를 차지하는 만큼 학교가 더 이상 ‘안전지대’가 아니라고 판단한 것이다. 전면 원격수업 실시는 사회적 거리두기 3단계에 준하는 것으로, 학습권보다 국민 건강을 고려한 조치다. 다만 고3은 대학입시 등 특수상황을 감안해 등교수업을 진행하기로 했다. 비수도권 학교는 학교 밀집도를 3분의 1 이하로 유지하면서 등교·원격수업을 병행하는 기존 방식을 유지한다.

이번 조치는 코로나19 대유행 위기의 진앙인 수도권 학교에 국한되지만, 코로나19 확산 추세에 따라 전국으로 확대될 가능성이 높다. 2학기 시작부터 비정상적인 학사 운영이 피할 수 없을 정도로 위급한 상황이다. 당장 맞벌이 가정과 저소득층의 보육 부담이 커졌다. 이미 코로나 1차 대유행 때 가족돌봄휴가를 소진한 맞벌이 부부들에겐 날벼락이나 진배없다. 상당수가 휴직이나 퇴사를 고민할 정도라고 한다. 코로나19 2차 대유행 조짐을 보이는 상황에서 어린이집 긴급보육이나 초등학교 긴급돌봄을 이용하기가 ‘하늘의 별따기’인 데다 이마저도 감염 위험이 커 걱정을 한다. 교육부가 돌봄교실당 학생 수를 10명 이내로 제한한 것도 이런 이유에서다. 그렇다고 밀집도가 높은 학원에 보내기도 난감한 처지다.

교육당국이 돌봄서비스 보완, 원격수업 시스템 개선, 학생맞춤형 관리 등의 대책을 내놓았지만 현장에서 제대로 작동할지는 의문이다. 원격수업으로 인한 학업능력 저하와 학력 격차 심화, 사교육의 ‘빈익빈 부익부’ 현상 역시 방치해선 안 된다. 교육당국은 학생·학부모의 걱정을 덜어주면서 현장의 혼란을 최소화해야 한다. 원격수업 초기의 ‘땜질식 대책’이 아닌, 중장기적 보육 플랜과 학력 제고 방안을 서둘러 마련해야 할 것이다.

비정상적인 학사운영으로 인해 대학입시에 차질이 빚어질까 우려된다. 대학입시와 관련해 유은혜 교육부 장관은 “수능이 차질없이 진행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했지만 혼란을 잠재우기엔 역부족인 상황이다. 가뜩이나 12월3일로 한 차례 연기된 수능으로 인해 학생·학부모가 어려움을 호소하는데 이마저도 다시 연기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수능이 정상적으로 치러지는 게 바람직하지만 만약의 사태에 대비한 ‘플랜B’도 미리 준비해야 한다.

저작권자 © 새한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