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관리들이 러시아 제재를 압박하기 위해 전세계를 돌면서 외교적 노력을 강화하고 있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가 21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미국과 동맹국들은 우크라이나 전쟁 초기 러시아의 군사 공급망을 방해하고 러시아 경제를 급격하게 위축시킬 수 있는 대러 제재가 성공했다고 주장한 바 있다. 하지만 서방 관리들은 시간이 지날수록 실제로 대러 제재 분위기가 약해지면서 오히려 러시아 경제를 돕고, 이는 잠재적으로 전쟁 연장으로 이어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유럽위원회 재무 책임자이자 EU 제재 정책을 감독하고 있는 메이어드 맥기네스는 "우리는 유럽과 제3국 모두에서 속임수를 피하고 싶다"며 "(제재) 회피가 오래 지속될수록 결론이 나오는 것을 보기가 더 어려워진다"고 지적했다. 맥기네스 측은 제재 회피를 근절하기 위해 유럽 세관 데이터를 조사하고 있다. 미 정부는 서방 국가들이 설정한 러시아 금융 및 무역 통제를 강화하기 위해 주요 관리들을 각국에 보내고 있다. 그들은 제재 회피 네트워크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고, 제재에 소극적인 정부와 기업을 위협하며, 러시아로 물품을 운반하는 것으로 의심되는 네트워크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있다.

재닛 옐런 미 재무장관은 지난주 인도네시아 발리에서 주요 20개국(G20)은 물론 개발도상국들에게 이 문제를 압박했다. 이달초 월리 아데예모 미 재무차관은 벨기에, 영국, 프랑스를 방문하기도 했다. 엘리자베스 로젠버그 미 재무부 테러 금융·금융 범죄 차관보 역시 최근 같은 임무로 일본을 방문했다. 미 재무부, 상무부, 국무부 소속 실무급 관리들도 전 세계를 돌고 있다.

로젠버그 차관보는 지난달 말 아랍은행연합(UAB) 회의에서 "러시아 자금 세탁이 아랍 세계에서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다는 공개적인 보고가 있다"면서 이례적으로 날카롭게 경고했다. 2월 말 부과된 대러 제재로 인해 올 2분기 세계 주요 경제국들의 대러 수출은 50% 이상 감소했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급감했던 대러 수출은 미국의 전통적 동맹국들을 포함한 많은 국가들에서 회복 조짐을 보이고 있다. WSJ는 자체 분석 무역 통계를 인용하면서 미 동맹국인 한국과 일본의 대러 수출은 여전히 제재 이전보다 낮은 수준이지만, 초기 손실의 거의 3분의 1을 회복했다고 분석했다.

EU도 대러 제재를 그동안 계속 확대해 왔지만, 당초 무역 감소분을 일부 회복했다. 서방 관리들은 오스트리아, 체코, 스위스 은행들이 제재 집행에 느슨해진 것을 우려하고 있다. 자금세탁방지전문가협회(ACAMS) 조지 볼로신 러시아 제재 조사관은 "대부분의 기업과 은행들이 제재 위반 가능성이 있는 거래를 피하고 있지만, 일부는 제재 상황을 기회로 보고 있다"며 "예를 들면 그들은 러시아 정부 관리들과 일할 때 매우 편해 한다"고  밝혔다.

스위스 금융당국은 지난 4월 80억 달러(약 11조 원)의 러시아 자산을 동결했다고 밝혔지만 5월에는 이들 자산 중 약 30억 달러(약 4조 원)를 풀었다고 밝혔다. 분석가들은 스위스에 있는 러시아 과두정치들 총 자산이 훨씬 더 많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오스트리아 라이파이젠 은행은 지난 3월 주요 영업국인 러시아에서 철수하는 방안까지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으나 아직도 검토만 하고 있다.

중국은 공개적으로 미국 주도 제재를 불법으로 규정하며 러시아와 무역을 어느 때보다 강화하고 있다. 튀르키예는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회원국인 만큼 서방과 러시아 사이에서 교묘한 줄타기를 하고 있다. 튀르키예는 우크라이나 전쟁 중에 러시아에 드론을 팔았으며, 튀르키예가 러시아에 수출한 규모는 2·4분기 기준으로 제재 이전보다 25% 증가했다.

저작권자 © 새한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