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체육부 독립이 필요한가?

▲ 최종표 회장

‘최순실 게이트’로 문화체육관광부가 멍들었다. 체육의 파급력은 단순히 스포츠라는 의미를 넘어 정치, 경제, 사회, 문화, 외교 등 다양한 방면에서 나타난다. 지금 대한민국 체육의 제도와 시스템은 어떤가. 스포츠 강국이라고 말하지만 여전히 선진국에는 미치지 못하고 있다.

새로운 정부가 출범할 때마다 체육부의 존폐는 가볍게 다뤄졌다. 1980년대 정부는 국민들의 생활수준 향상과 여가시간 증대를 기반으로 체육활동을 통한 삶의 질 제고를 위해 체육부를 신설했다. 이를 통해 엘리트체육, 생활체육, 학교체육의 육성도 가능했다. 당시는 1986 서울아시안게임과 1988 서울올림픽 개최가 확정됨에 따라 국가적 차원의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체육 지원이 필요한 시점이었다.

이후 체육부는 체육청소년부로 개편됐다가 문화부와 통합되어 문화체육부로 명칭이 변경됐다. 1997년 김대중 정부가 들어서면서 문화관광부로 명칭이 바뀌어 체육국으로 하향 조정되는 수모를 겪기도 했다. 2008년 우여곡절 끝에 문화체육관광부로 명칭이 변경됐으나 여전히 독립을 못하고 허덕이다가 박근혜 정부에서는 몰매를 맞고 있다.

현재 문체부 체육 담당 부서의 직제는 1실 2국 6과이다. 이 체제로 대한체육회를 비롯한 대한장애인체육회, 국민체육진흥공단, 태권도진흥재단, 한국스포츠개발원, 한국체육산업개발 등을 관리한다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 기획, 관리, 감독 인원의 물리적인 부족이 가장 큰 이유이다. 많은 업무량은 부실로 이어지기 쉽다.

 

연일 체육계 비리들이 터져 국민들에게 실망을 안겨주는 것도 관리 소홀이 원인이다. 문체부 시스템이 갖고 있는 구조적 한계는 문화체육계 농단사건에도 영향을 줬다는 것이 전문가와 지도자들의 일치된 의견이다.

지난 2016년도에는 거대 통합체육회인 대한체육회가 탄생했고, 세계무예마스터십대회도 성공적으로 개최됐다. 평창동계올림픽, 세계충주무술축제, 세계태권도선수권대회 등 앞으로 개최될 굵직한 국제 스포츠 행사들도 즐비하다. 이 대회들을 모두 관리 감독하기 위해서는 컨트롤타워가 필요하다.

국제 규모 스포츠 행사는 국가 이미지와 경제에 큰 영향을 준다. 이제라도 스포츠 강국이라는 이미지에 걸맞게 체육부를 독립시켜 국민들에게 맞춤형 체육을 제공해야 한다.

“늦었다고 생각할 때가 가장 빠른 때”라는 말이 있다. 요즘은 이 말이 “늦었다고 생각될 때는 진짜 늦은 때다”로 변형되어 쓰이고 있다. 체육 강국을 향한 시간을 미룬다면 국제무대에서 대한민국 스포츠가 설 땅은 좁아질 것이다. 국가 장래를 밝히고, 위상을 높이기 위해서는 문화체육관광부에서 체육부를 독립시켜야한다. 이 길만이 문화ㆍ체육계의 비리를 차단하고, 체육 선진국으로 향하는 정도(正道)가 될 것이다.

저작권자 © 새한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