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평화는 경제발전의 원동력이다. 어려움에 처한 우리 경제의 활로를 마련하기 위해선 노사갈등 문제는 시급히 풀어야 할 현안이다. 노사가 갈등 요인에 대해 서로의 입장을 이해하고, 양보하고, 힘을 하나로 모으는 게 긴요하다. 작금 우리 경제는 내우외환에 직면해 있다. 곳곳에서 악재가 쏟아지고 있는 것이다. 고비용·저성장의 늪에 빠져 들고 있는 것이다. 인건비, 원자재 가격, 임대료, 금리 등 생산에 필요한 비용이 일제히 치솟고 있는 가운데 투자와 고용은 악화되고 설상가상 소비까지 둔화하면서 정부 목표인 연 2.9% 성장률 달성도 멀어지고 있다. 성장률을 끌어내린 것은 투자다. 설비투자, 건설투자, 지식재산생산물투자(-0.7%) 등 투자 지표가 일제히 마이너스로 돌아섰다. 3개 투자 부문이 모두 역성장한 것은 6년 만이다.

이럴 때일수록 산업평화가 요청된다. 그러나 노동 및 금융 시장의 비효율성이 전체적인 국가경쟁력을 갉아먹는 요인으로 지적된 지 오래다. 세계경제포럼(WEF)이 발표한 '2017년 국가 경쟁력 평가'를 보면 노동 분야의 경우 노사 간 협력 등은 세계 최하위권이다. 고용 및 해고 관행, 정리해고 비용, 임금 결정의 유연성 등도 하위권에 머물렀다.

사리가 이러함에도 안타깝게도 노사 관계는 나아질 조짐이 없다. 예컨대 포스코 사례가 잘 보여주고 있다. 민주노총 포스코 지부와 관련된 것으로 추정되는 직원 5명이 경북 포항에 위치한 인재창조원 사무실에서 회사 문서를 탈취하는 사건이 벌어졌다. 무단 침입 및 절도, 그 과정에서의 폭행 등이 빚어져서야 어떻게 원만한 노사관계를 기대할 수 있겠는가. 수사당국의 엄정 규명이 있어야겠다.

무한대 글로벌 경쟁시대에 한국경제를 살리겠다는 경제주체들의 실천 의지가 긴요하다. 특히 노사화합에 바탕한 생산성 제고가 급선무다. 노·사·정이 서로의 입장을 이해하고, 양보하며, 힘을 하나로 모으는 게 위기에 처한 한국경제 회생의 지름길임을 함께 인식하길 기대한다.

저작권자 © 새한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