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와 기업 등 경제주체들은 채무관리에 경각심을 갖고 대처해야겠다. 미국 중앙은행 연방준비제도(Fed)는 지난달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올린 데 이어 '빅스텝'으로 불리는 0.5%포인트 추가 인상 가능성도 열어놓고 있어 주목되고 있다. 미국이 코로나19 사태 이후 양적 완화를 지속했지만 이젠 풀린 돈을 회수하겠다는 의도를 현실화한 것이다.

미 연준은 지난달 16일(현지시간) 0~0.25%인 기준금리를 0.25~0.5%로 인상했다. 미국은 2020년 3월 코로나19로 제로금리로 낮춘 뒤 2년 만에 제로금리에서 벗어났다. 연내 추가로 6회 금리를 올릴 것임을 시사했다. 올해 남은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때마다 금리를 올릴 경우 1.75%가 되는 점을 감안하면 한 차례에 한해 큰 폭의 금리를 올릴 수 있다는 얘기다. 40년 만에 최고 수준인 인플레이션 위협을 좌시하지 않겠다는 의지다.

한국경제의 대비가 긴요하다. 우리의 기준금리는 지난 14일 연 1.25%에서 1.5%로 조정했다. 한은은 당분간 월간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4%대(전년 동월 대비)를 이어갈 것으로 내다봤다. 올해 경제성장률은 당초 예상치(3%)를 밑돌 것으로 전망했다. 물가는 치솟는데 경기는 부진을 면치 못하는 스태그플레이션이 예상되는 상황이다.

금리가 오르면 가계와 기업의 이자 부담이 커진다. 누구보다 빚을 얻어 주식이나 부동산을 사들인 ‘빚투’ 가계에 비상이 걸렸다. 지난해 말 가계부채는 1862조원에 이른다. 여기에 소규모 자영업자와 비영리법인을 포함하면 2200조원을 웃돈다. 이미 명목 국내총생산(GDP)의 100%를 훌쩍 넘어섰다. 앞으로 금리가 더 오르면 경제 전반에 충격파가 작지 않을 것이다. 국제통화기금(IMF)은 이미 “한국의 가계부채는 가처분소득의 190%를 넘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최고 수준이며, 중소기업의 절반은 이자도 갚지 못하는 한계기업”이라고 경고한 바 있다.

이창용 신임 한은 총재와 정부 등 통화·금융 당국은 코로나19 이후 급증한 가계부채의 연착륙을 유도하면서 취약 계층이 빚의 악순환에 빠지지 않도록 세심한 관리에 나서길 당부한다. 오는 6월 지방선거를 의식한 정치권의 포퓰리즘은 결국 서민과 취약 계층의 고통을 가중한다는 점을 명심해야 한다. 한쪽에선 금리를 올려 돈줄을 죄는데 다른 쪽에선 돈 풀기 신호를 보내는 정책의 엇박자는 지양하는 게 온당하다.

 

저작권자 © 새한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