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설위원 김상호
논설위원 김상호

 

정년 연령에 도달해 퇴직한 고령층 가운데 계속 일하고 싶어하는 비중이 79%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0명 중 8명은 사실상 은퇴를 거부하는 셈이다. 고용연장 방안에 대한 적극적인 논의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통계청 ‘고령층 부가조사’ 마이크로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정년퇴직으로 가장 오래 근무한 일자리를 그만둔 고령층 44만3000명 가운데 79.0%인 35만명이 “계속 근로하길 희망한다”고 답했다. 이는 전체 고령층의 계속근로 희망 비율(68.5%)보다 10.5%포인트 높은 수치다. ‘정년의 벽’으로 인해 불가피하게 노동시장에서 이탈한 고령층일수록 계속 일하고 싶은 갈망이 큰 것이다.

정년퇴직 인구는 고령화로 인해 2021년 39만4000명에서 지난해 41만7000명, 올해 44만3000명으로 매년 늘어나는 추세다. 시간이 흐를수록 정년을 맞아 은퇴하고도 노동시장에 남아있고 싶은 고령층도 점점 늘어날 수밖에 없다.

특히 최근 국민연금 수급연령을 점진적으로 65세에서 68세까지 늘리는 연금개혁 방안이 제시되면서 계속근로에 대한 필요성은 더욱 커지고 있다. 안 그래도 정년퇴직 이후 연금을 받기 전까지 소득이 없는 ‘소득 크레바스(틈)’가 현재 5년이나 되는데, 정년연장 논의가 서둘러 이뤄지지 못하면 이 기간이 무려 8년으로 늘어나기 때문이다.

이에 노동계는 법정정년을 현행 만60세에서 65세 이상으로 늦춰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와 관련해 한국노총이 제안한 국민동의청원은 5만명 동의를 얻어 현재 국회 환경노동위원회에 회부된 상황이다. 한국노총 측은 “정년연장은 국민연금법에 따른 노령연금 수급 개시 연령과 일치시켜 단계적으로 늘려나가 소득 공백 문제를 해결함으로써, 고령자의 고용안정과 적정 임금을 보장하고 이를 통해 노후 빈곤 예방과 고령자 삶의 질을 개선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정부는 법정정년을 연장하기보단 ‘계속고용’으로 고용을 연장하는 방식에 무게를 두고 있다. 법적으로 정년을 연장하면 오히려 청년 취업에 장벽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대신 직무·성과 중심의 임금체계 개편과 연계해 재고용·정년 연장 등에 대한 사회적 논의를 진행할 방침이다. 현재 대통령 직속 사회적 대화 기구인 경제사회노동위원회(경사노위)에서 ‘초고령사회 계속고용 연구회’를 발족해 논의를 이어가고 있다.

“단순히 법으로 정년을 연장하면 취업을 원하는 청년들에게 큰 장벽과 절망이 될 수 있다. 고용연장을 위한 심도 있는 논의가 정부 노사간에 필요하다”

저작권자 © 새한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