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산업통상자원부
지능 정보화 시대, 인증제도는 어떻게 변하고, 그 일을 하려면 어떠한 역량을 개발해야 할까?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은 “2017년 제4회 국가인증제도 포럼”을 18일 더케이 서울호텔에서 개최해 각 분야 전문가들과 함께 4차 산업혁명에 대응하기 위한 인증 정책 대안을 모색했다.

주제발표에서 4차산업혁명의 메가트렌드인 플랫폼화의 영향을 분석한 결과, 각 요소 제품 및 시스템 개발 단계에서부터 상호운용성 확보가 반드시 수반돼야 한다고 송태승 수석연구원(KTL)은 강조하며, 유명 시험인증기관은 기능안전, 정보기술(IT) 보안기술 등을 포함한 시험인증 서비스 포트폴리오를 개발하고 있다고 소개하면서, 우리 인증산업의 활로는 유망 시험인증 서비스 발굴과 시험기술 확보를 통한 인증 상표(브랜드)화라고 결론지었다.

김광태 유엘코리아(UL Korea) 전무이사는 미래의 지능 정보화, 무인화에 따른 예기치 못한 위험과 정보손실 발생 가능성을 지적하면서, 시장의 요구와 신기술에 부합하는 새로운 인증 분야가 생성될 것이라고 예측했다.

특히 유엘코리아는 전통적 안전인증도 강화해 나가지만, 사물인터넷(IoT) 단절 예방 및 가상공간 보안(Cybersecurity)을 미래 수요로 보고 인증 규격의 제정과 적용을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아울러, 포럼에서 정책 방안 수립을 위해 정부가 안전 정책 취지를 설명하고 다양한 이해 집단의 의견을 듣는 기회를 마련했다.

정부측을 대표해 박종섭 팀장(국표원)은 제품안전관리 종합계획(안)을 발표하고, 특히 비관리제품의 안전 확보를 위해 실시한 시범사업 결과를 공개했다.

소시모 윤명 사무총장은 소비자들이 제품 안전의 중요성을 점점 더 크게 느끼고 있으며 개별 인증 마크 보다 국가통합인증(KC) 마크를 더 신뢰한다는 조사 결과를 인용하면서 인증에 대한 책임과 관리를 강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중소기업중앙회 마재용 단체표준국장은 유사 중복인증을 방지하기 위해 지속적인 규제개혁이 필요하다며, 대부분의 기업이 판로확보를 위해 인증을 취득하는 현실을 감안해 필수 인증이라도 수요처와 연계성을 제도적으로 강화해달라고 요구했다.

국표원 진종욱 적합성 정책국장은 인사말을 통해 앞으로 4차산업혁명과 관련해 인증 수요가 크게 증가하고 인증 형태도 복잡해 질 것이라며 초기 인증 시장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실무적으로 준비를 진행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새한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