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우한 폐렴)에 관한 ‘가짜뉴스’가 퍼져 공포와 불안을 키우고 있다. 경남지방경찰청은 어제 우한 폐렴 감염 우려자가 창원에서 발생했다는 가짜뉴스를 유포한 20대 남자를 붙잡아 조사했다. 경찰이 우한 폐렴 가짜뉴스 유포자를 검거하기는 이번이 처음이다. 인천과 충남 천안에서도 환자가 나왔다는 가짜뉴스가 인터넷상에 유포됐지만, 사실이 아닌 것으로 확인됐다. 지난 주말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서는 국내 4번째 확진자가 사망했다는 괴정보가 떠돌아다녔다. 지금 같은 위기상황에서 가짜뉴스를 유포하는 것은 반(反)사회적인 범죄다. 가짜뉴스는 대중의 불안감을 증폭시킬 뿐 아니라 방역당국의 행정력을 엉뚱한 곳에 낭비하게 한다.

정부와 여당은 가짜뉴스 근절을 위한 총력 대응에 나섰다. 문재인 대통령은 어제 국무회의에서 “정부는 가짜뉴스를 막으며 감염병 관련 정보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제공해야 한다”고 말했다. 더불어민주당 이인영 원내대표도 원내대책회의에서 “질병보다 빨리 퍼지는 가짜뉴스, 혐오 조장을 차단해야 한다”고 했다. 금융시장에서는 우한 폐렴에 관한 허위사실을 유포해 투기를 노리는 움직임도 감지된다. 김용범 기획재정부 1차관은 확대거시경제금융회의에서 “허위사실 유포와 불공정거래 개연성이 의심되는 계좌에 대한 감시를 강화해 적발된 행위는 수사를 의뢰하겠다”고 밝혔다.

세계보건기구(WHO)도 최근 우한 폐렴 관련 가짜뉴스가 범람하고 있다고 경고했다. WHO는 ‘인포메이션’(information·정보)과 ‘에피데믹’(epidemic·전염병)을 합친 ‘인포데믹’(infodemic), 즉 ‘정보 전염병’이란 용어까지 만들어내고 “공중보건에 위험을 초래할 괴담을 바로잡는 노력을 펼치겠다”고 밝혔다. 가짜뉴스의 실례로 ‘중국산 물품이나 우편물을 통한 감염’ 우려를 들며 “소포 표면에서는 바이러스가 오래 살지 못한다”고 해명했다.

바이러스 퇴치에 전력을 기울여야 할 마당에 가짜뉴스 때문에 혼선을 빚고 과잉 대응을 유발하는 건 안타까운 일이다. 근거 없이 떠도는 괴소문이 초래하는 부작용은 바이러스보다 더 무서울 수 있다. 가짜뉴스에 대한 당국의 철저한 단속과 엄정한 대응이 필요하다.

저작권자 © 새한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