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발 감원 공포가 현실화하고 있다. 코로나19 사태로 항공업계가 직격탄을 맞은 가운데 저가 항공사인 이스타항공이 전 직원의 45%인 750명을 구조조정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한다. 회사 측은 희망퇴직 신청을 받은 뒤 감원 목표치에 미달하면 정리해고할 방침이다. 이스타항공은 최근 수습 부기장 80명에 대해 계약 해지를 통보한 바 있다. 항공업계 하청업체 근로자들도 대량 해고에 내몰렸다. 대한항공 자회사 한국공항 하청업체 EK맨파워는 직원 50여명에게 오는 24일자로 정리해고를 통보했고, 아시아나항공 하청업체 아시아나AH는 희망퇴직으로 인력 50%를 감축할 방침이다.

감원 공포는 다른 업계로 퍼지고 있다. 자동차업계는 4월 유동성 위기설이 퍼지면서 완성차업체부터 부품업체, 타이어업체까지 구조조정이 확산하고 있다. 한국지엠은 최근 팀장급 임금 20%를 지급 유예하기로 했고, 르노삼성차는 상시 희망퇴직 제도를 시행 중이다. 관광·호텔·여행업계 등도 해고나 권고사직, 무급휴직이 급증하고 있다. 각 지방노동청마다 실업급여 신청자가 작년 대비 20∼30% 늘었다고 한다. 직원을 내보내지 않고 휴업·휴직으로 버티는 사업장에 지원하는 고용유지 지원금 신청도 크게 느는 추세다. 일자리 수십만개가 사라질 것이라는 비관적인 전망까지 나온다.

정부는 100조원 규모의 기업구호자금을 긴급 투입하고, 1000억원 수준이던 고용유지 지원금을 5배 늘리기로 했다. 하지만 거세게 몰아치는 실업 쓰나미를 피하기에는 역부족이라는 지적이 많다. 무엇보다 경영난을 겪는 기업 현장 상황을 제대로 파악하고 적기에 지원해 대규모 실업을 막는 실질적 대책이 필요하다. 고용유지 지원금을 대폭 늘리고 지급 대상 업종도 확대해 해고를 최대한 줄이도록 유도해야 한다. 실업 사태를 사전에 막는 것이 실업자 생계를 지원하는 것보다 효율적임은 두말할 나위가 없다.

지금은 일자리 유지가 최고의 생계지원 대책이다. 미증유의 비상사태를 맞아 정부는 할 수 있는 수단을 모두 동원해야 한다. 기존 정책에 얽매이지 말고 최저임금을 일시적으로 낮춰 기업 부담을 완화해주는 특단의 방안까지 고려해야 할 것이다. 기업들은 정리해고 등을 자제하고, 노조도 임금 동결 또는 삭감을 받아들여야 한다. 노사가 고통 분담의 정신을 발휘해야 1997년 외환위기 당시 실업대란의 악몽을 피할 수 있다.

저작권자 © 새한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