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국가의 경제는 제조업 성과에 달려 있다고 해도 지나친 말이 아니다. 제조업은 국가경쟁력의 기반이다. 현실은 어둡다. 모든 업종이 전망 기준치를 밑돌고 있다. 제조업 국내 공급이 줄어든 것은 산업부진에서 찾을 수 있다.

설상가상 최근 10년간 한국의 제조업 인력이 주요 제조 강국인 미국, 일본보다 빠르게 늙어가면서 제조업의 성장잠재력이 급격히 악화할 것이라는 전망이 제기돼 우려를 사고 있다. 한국경제연구원이 2010~2020년 ‘제조업 근로자의 고령화 추이’를 분석한 결과 50대 이상 제조업 근로자의 비중이 2010년 15.7%에서 2020년 30.1%로 14.4%포인트 증가했다.

반면 같은 기간 30대 비중은 35.1%에서 27.8%로 7.3%포인트 줄었고, 청년층(15~29세) 비중은 21.6%에서 15.2%로 6.4%포인트 감소했다. 40대 비중은 27.7%에서 26.9%로 0.8%포인트 줄었다. 50대 이상 제조업 고령인력 비중이 약 2배 증가한 데 비해, 미래의 성장 동력인 청·장년층 근로자 비중은 전부 줄어들어 제조업 인력의 노령화가 심각한 수준인 것이다.

구체적으로 미국, 일본과 견줘 보면 한국의 제조업 고령화 속도는 훨씬 가파르다. 한국의 제조업 근로자 평균연령은 2011년 39.2세에서 2020년 42.5세로 3.3세 오른 반면, 일본은 41.6세에서 42.8세로 1.2세 증가했다. 같은 기간 미국은 44.1세에서 44.4세로 0.3세 오른 것에 그쳤다. 문제는 이러한 추세가 지속하면 2026년부터 한국의 제조업 근로자 평균연령(44.9세)은 미국(44.6세)과 일본(43.6세) 모두 넘어설 것으로 전망된다는 점이다.

한경연이 분석한 제조업 고령화의 원인을 눈여겨봐야 한다. 저 출산에 따른 인구 고령화가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은 불문가지다. 여기에 더해 각종 기업 규제, 그 중에서도 엄격한 노동규제로 인해 기존 정규직은 과보호되고 제조업의 투자와 고용이 위축해 청·장년층의 노동시장 진입이 어려워진 탓이라고 분석한 점이 주목된다.

과제가 적잖다. 제조업 고령화를 막기 위해선 전근대적 연공서열식 급여체계 개선 등이 뒤따라야 한다. 능력과 생산성 위주의 급여체계 개선이 뒤따라야 함을 말해주는 대목이다.

경제성장의 중추적 역할을 해 온 제조업의 고령화는 성장 동력 약화에 따른 산업 및 국가경쟁력 저하를 초래한다. 제조업 고령화를 막기 위해선 직무가치·생산성을 반영한 임금체계로의 개편, 노동유연성 제고, 규제 완화 등으로 민간의 고용부담을 낮추는 동시에, 교육·훈련 강화로 노동의 질적 향상이 뒷받침돼야 한다. 

저작권자 © 새한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