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로 가뜩이나 위축된 서민 살림은 물가 상승만으로도 직격탄을 맞았다. 통계청에 따르면 ‘2021년 소비자물가가 2.5% 상승하며 10년 만에 최고치를 찍었다. 2021년엔 하반기로 갈수록 물가 상승폭이 커지며, 12월 상승률은 전년 대비 3.7%에 달했다. 장바구니 물가가 특히 치솟아 서민들이 느끼는 정도는 더욱 컸다.

연간 물가상승률은 2019년(0.4%)과 2020년(0.5%) 2년 연속 0%대에 그쳤으나, 2021년은 2%대로 뛰어올라 2011년(4.0%)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다. 2.5% 상승률은 정부가 경제정책방향에서 제시한 2021년 물가상승률 전망치 2.4%를 소폭 상회하는 수치다. 하지만 물가상승폭이 하반기로 갈수록 커진 데다 서민들이 느끼는 체감물가는 전체 물가상승률을 크게 웃돌았다.

더욱이 소비자들이 물품 구매 현장에서 느끼는 생활물가지수는 2020년 대비 3.2% 올랐다. 10년 만에 가장 높은 상승률이다. 예컨대 지난달 39개 외식물가를 1년 전과 비교하면 4.8% 올랐다. 외식물가 상승률은 지난해 1월 1.3%에 그쳤으나 3월 2%, 8월 3.1%로 조금씩 오르다 연말에 큰 폭으로 뛰었다. 재료비 상승이 외식물가에 영향을 줬다. 특히 달걀과 수입 소고기 등 축산물 물가가 12월에 14.7%나 급등했다. 물론 물가 상승의 주요 원인이 정부가 딱 부러지게 대응할 수 없는 건 전 세계 공급망 붕괴와 원자재 가격 급등에 있기 때문이다.

문제는 물가가 지속적으로 오르는 인플레이션이 발생하면 금리를 올릴 수밖에 없고 가계와 기업의 이자 상환 부담은 커지게 된다. 경기 회복이 본궤도에 오르기도 전에 물가와 금리가 오르면 불황 속 고금리라는 이중고에 시달리게 된다는 사실이다.

코로나19의 장기화로 자영업자들이 대거 도산하고 실업자가 늘고 있는 가운데 물가가 이처럼 오르니 중산층 이하 삶이 피폐해졌다. 코로나 위기 극복을 위해 막대한 돈이 풀려 인플레이션 조짐이 뚜렷한 마당에, 오미크론 바이러스 확산으로 경기가 뒷걸음치면 최악의 스태그플레이션(경제불황 속 물가상승)을 피하기 어렵다.

정부는 스태그플레이션 도래를 엄중히 인식해야 한다. 막무가내로 돈을 풀지만, 물가만 자극하고 소비가 기대만큼 살아나지 않는다. 단기적 대응책은 말할 것도 없고, 근본적인 경제체질 혁신에 집중해야 한다. 규제 철폐로 기업투자 확대를 이끌어 고용과 소득을 늘리고, 소비 활성화로 경기가 좋아지는 선순환 구조가 유일한 해법이다. 국민 생활에 대한 중앙·지방정부의 세심한 배려가 요청된다.

저작권자 © 새한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