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제20대 대통령 당선인의 정부 출범을 도울 대통령직인수위원회가 공식 출범했다. 윤석열 정부 5년의 밑그림을 그릴 중차대한 책무를 지니고 있다. 이번 인수위 인선을 통해 본 윤 당선인의 인사 기조는 ‘통합’과 ‘전문성’으로 집약된다. 24명의 인수위원 면면을 보면 이명박(MB)계와 호남 출신, 국민의당 추천 몫 인사들이 고루 포진해 있다. 박근혜정부 출신은 물론이고, 문재인 대통령이 한때 영입했던 인물까지 포함할 정도로 전문성도 중시했다. 이런 인사 원칙을 향후 내각 및 청와대 참모 구성 과정에서도 견지해 나가기 바란다.

안철수 인수위원장 추천 인사들이 대거 포진한 것은 인수위에서부터 통합정부 구상을 실현하려 한 것으로 보인다. 안철수계 인사들은 총 8명으로 3분의 1을 차지하며 윤 당선인과 안 위원장이 약속한 ‘공동정부’가 순조로운 출발을 하게 됐다. 그러나 능력주의에 근거해 인선 작업을 하다 보니 성별·출신지·출신 학교 등에 따른 안배는 상대적으로 부족했다. 평균 연령 57.6세에 남성이 다수를 차지해 ‘서오남’(서울대 50대 남성)이 주류를 형성했다. 24명 중 서울대 출신이 13명이었고, 교수 출신은 12명에 달했다. 여성 인수위원은 4명에 그쳤다. 여성 분과가 사라지고 20∼30대 청년층이 포함되지 않는 등 다양성이 부족한 것은 아쉬운 부분이다.

인수위는 과욕과 오만을 경계해야 한다. 국정기조 변화의 의욕이 넘쳐 과속하게 되면 일방통행과 독주·독선이라는 과거 정권의 전철을 밟게 된다. 인수위원들이 아이디어 차원의 설익은 정책과 개인 의견을 발표하거나 소소한 정책까지 챙기려는 행태 역시 지양해야 한다. ‘공약 거품’을 걷어내는 것도 급선무다. 공약 거품을 걷어내지 않는다면 심각한 재정 위기를 맞을 것이다. 못 지킬 약속은 국민에게 솔직하게 이해를 구하고 과감하게 포기해야 한다.

현 정부와의 갈등도 최소화해야 한다. 문 대통령과 윤 당선인의 회동 불발이 신·구 권력 간 정면 대결로 확전될 조짐이어서 우려스럽다. 정권 교체기 신·구 정권의 불협화음이 낯선 현상은 아니지만, 이번에는 5년 만에 정권이 교체되면서 더욱 첨예한 갈등으로 비화하는 양상이다. 양측 인사들은 어제도 날 선 공방을 주고받았다. 안 인수위원장은 며칠 전 “인수위는 점령군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물러가는 권력은 최대한 문을 열어 협력해야 하지만, 새로 들어서는 권력도 겸손과 예의를 갖춰야 한다.

인수위원들은 윤석열 정권 5년의 지향점을 제시한다는 측면에서 역사적 소명감을 갖고 말보다 구체적 개혁 과제들을 제시하길 당부한다.

 

저작권자 © 새한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