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5년간 중국 소비자의 한국 상품 구매 경험이 급감했다. 특히 코로나19 이후 중국 소비자의 한국 상품에 대한 긍정 평가가 감소하고 부정 평가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무역협회(무협) 상하이지부는 5일 이같은 내용을 담은 '코로나19 이후 중국 소비자 트렌드 설문조사' 보고서를 발표했다. 이 조사는 중국 주요 10대 도시 소비자 1000명을 대상으로 실시됐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한국 상품 이미지에 대해 '긍정적'이라 답한 소비자는 54.5%, '보통'은 35.5%, '부정적'은 10%로 나타났다. 이는 코로나19 초기인 2020년 조사 당시와 비교했을 때긍정 평가는 5%p 감소한 반면 부정 평가는 6.6%p 증가했다. 최근 5년 내 한국 상품 구매 경험을 보유한 소비자는 43.1%로 2020년 78.7% 대비 크게 하락했다.

연령별로는 20대(83.3→41.2%) 및 30대(84.8→40.4%) 응답자의 구매 경험이 크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역별로는 상하이(87→41.3%)와 베이징(87→40.2%) 등 1선 도시 거주 응답자의 구매가 대폭 감소했다. 최근 5년 동안 중국 소비자가 가장 많이 구매한 한국 상품은 ▲미용 제품(58%) ▲식품(55.5%) ▲의류(45.2%)로, 주력 소비재 품목의 순위는 2020년과 비교해 바뀌지 않았으나, 구매 경험은 감소한 것으로 파악됐다. 반면 ▲영유아제품(29.2%) ▲주방용품(19.3%) ▲의료건강 제품(14.4%)의 구입은 증가했다.

무협 측은 코로나19 이후 중국 소비자의 건강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면서 의료 및 건강제품 소비가 크게 증가했고, 코로나 봉쇄 및 외식 물가 상승으로 인해 자택 내 소비가 늘어난 것으로 파악했다.

코로나19 이후 ▲식품(59.4%) ▲의료건강(46.4%) ▲의류(40.4%) ▲주방용품(40.3%)의 구매가 증가했으며, 봉쇄로 인한 외출 감소로 인해 응답자의 42.5%는 온라인을 통해 상품을 구매한다고 답변했다.

중국 소비자는 상품 구매 시 ▲품질(24.7%) ▲가성비(16.9%) ▲브랜드(16.2%)를 우선적으로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품질 이외에 20·30·40대 소비자는 브랜드를 중시하고, 50대 소비자는 가성비를 고려한다고 응답했다. 무협은 코로나 기간 중 중국의 소비 트렌드는 변화했으나, 중국에 진출한 한국 제품은 이에 부응하지 못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한국 상품을 구매하지 않은 주요 원인은 ▲상품 후기(35.9%) ▲국가 이미지(34.6%) ▲경쟁력 부족(33.6%) 순으로 나타났다. 2020년과 비교했을 때 ▲한국 제품의 경쟁력 부족 ▲번거로운 AS ▲불합리한 가격 등이 한국 제품을 구매하지 않은 원인이라고 답변한 구매자가 크게 증가했다.

한국 상품 대신 중국 상품을 선택할 것이라고 답한 응답자는 58.2%였으며, 한국 상품을 대체할 국가로는 유럽(17.3%), 미국(14%), 일본(10.5%) 등을 지목했다.

저작권자 © 새한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