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자체 현장계도와 자영업자들 자성 요청

관광(觀光)은 굴뚝 없는 무공해 청정산업이다. 어느 업종보다 부가가치 높은 관광산업은 촉망받는 서비스 업종이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작금 우리 현실은 암울함 그 자체다. 국가의 관광 수지는 코로나19 이후 크게 악화됐다. 주한 미군의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사드·THAAD) 한반도 배치 결정 이후 중국 정부의 ‘한한령(限韓令·한류 금지령)’ 등으로 한국을 찾는 중국인 단체관광객인 유커(遊客)가 많지 않다.

다행히 올해 1분기 한국을 찾은 외국인 관광객 수(약 171만 명)가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 1분기(384만 명) 대비 44.6% 수준을 기록했다. 5월에는 지난해 동기(17만5922명) 대비 392.9%가 증가(86만7130명)하는 등 국제 관광시장이 빠른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

이럴 때일수록 국내외 관광객을 만족시킬 수 있는 인프라 구축에 힘써야 한다. 가장 큰 고객인 중국 단체관광이 풀리지 않은 상황에서 기타 지역 시장의 경쟁우위를 확보해야 한다. 그 이전에 국내관광객의 마음부터 사로잡을 수 있는 대책이 시급하다.

사리가 이러함에도 바가지요금 논란이 사회적 문제로 부상하고 있어 후진국형 병폐를 시급히 개선해야 한다는 여론이 거세다. 바가지요금 논란의 원인으로 이동상인(이른바 장돌뱅이)의 상술, 지역축제추진위원회의 욕심, 가수들의 몸값 상승 등이 꼽히고 있다. 코로나19 엔데믹 이후 욕망이 통제될 수 없는 상황이 전개되면서 바가지 상술이 나타나게 됐다는 분석이다.

지역축제의 바가지 상술의 또 다른 문제점은 자신의 정체성이 사라진 지역축제가 우후죽순 생겼다는 점이다. 물론 이름은 그럴싸하게 내놓고 있지만 엇비슷한 지역축제가 곳곳에서 생겨나면서 이제 1000여개 정도 되고, 지역축제는 이제 ‘사업’이 됐다. 그러다보니 돈벌이 혈안이 된 사람들이 곳곳에서 나타났고, 그것이 바가지요금 논란으로 이어진 것이다.

여름 휴가철이 본격 시작된 가운데 국내 곳곳에서 바가지요금 논란이 더욱 불거지고 있다. 호텔 등 숙박시설과 지역 축제의 먹거리 가격은 물론, 외국인을 상대로 한 길거리 음식 가격마저 터무니없이 비싼 수준에 책정되고 있다는 지적이다.

바가지요금이 시설 이용료에만 국한된 것도 아니다. 서울 중구는 최근 불거진 명동 일대 노점상 가격 논란과 관련해 가격표시제를 추진한다고 밝혔다. 앞서 이 지역은 노점상들이 판매하는 만두와 붕어빵, 탕후루 등 길거리 음식이 다른 지역보다 비싸다는 지적이 잇따르며 논란이 됐다.

각 지방자치단체가 단속반 등을 꾸려 현장 계도에 나서고, 자영업자들 사이에서도 자성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으나 바가지 논란은 좀처럼 가라앉지 않는 분위기다. 전국 각지 지역 축제에서도 먹거리 바가지요금 사례가 속출하는 실정이다.

여행·레저업계에서는 공중위생관리법 등 현행법 개선이 이뤄지지 않는 한 법적 처분은 어렵다는 분석이 나온다. 현행법에 따르면 숙박업주 등이 인상된 요금을 제대로 게시만 한다면 행정처분을 할 근거가 부재하다는 지적이다.

이제 우리 모두 현명한 선택을 해야 할 시간이 됐다. 바가지요금 논란이 있는 지역축제가 있다면 관광객들은 불매운동을 펼쳐야 한다. 그래야만 바가지요금 논란이 종식될 수 있다. 또한 지자체는 방문한 관광객들을 대상으로 돈벌이에만 골몰하지 말고, 한 번 더 방문할 수 있는 마음이 생기도록 해야 한다.

그래야만 지역이 사는 것이고, 지방 경제가 사는 것이다. 한 번 다녀가면 끝이라는 생각에 무조건 관광객들에게 바가지를 씌우는 그런 정책을 구사하게 된다면 관광객들로부터 외면을 받는다는 사실을 명심해야 한다. 관광은 그 지역과 대한민국에 대한 인상을 결정짓게 하는 주요 요소임을 재인식하자.

 

저작권자 © 새한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