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 니스트 김상호
칼럼 니스트 김상호

 

온난화 가속… 상상 못할 재앙 현실화 가능성

해수면 이번 세기 중 0.5~2m대 상승 관측

최근에는 세계 각지에서 커다란 산불이나 홍수,한파, 그리고 지진 같은 천재지변이 부쩍 많이 일어나는 듯싶다. 잦아진 천재지변은 지구가 내는 신음 아닐까? 틀림없이 지구는 몸살을 앓고 있다. 온난화 혹은 기후변화라는 이름으로 미열(微熱)에 시달린 지는 이미 오래되었는데, 대한민국에서도 기상관측망이 확립된 1973년 이후 작년은 가장 뜨거운 한 해였다.

과다한 흡연이 건강을 해치는 것처럼 화석연료 소비로 엄청 늘어난 이산화탄소(CO₂) 같은 온실가스 때문에 지구는 시름시름 앓고 있다. 현재의 미열을 치료하지 못하고 고열에 이르면 사람과 마찬가지로 심각한 지경에 빠질 수 있다.

학계에서는 산업혁명 이전 시대의 평균 기온보다 2℃ 이상 기온이 오르면 기후 변화를 인간이 통제할 수 있는 임계점을 넘어설 것으로 보고 있다. 당초 이 ‘2℃ 상승’은 2050년께 도달할 것으로 예상됐으나 온실가스 배출량이 계속해서 늘어나면서 임계점 도달 시기가 점차 가까워지고 있다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지구 기온은 1970년대 이후 빠르게 올라가고 있는데, 우리나라에서도 사과 주산지였던 대구에서 이제는 열대작물인 망고와 바나나도 열리고 있다. 이런 일만이라면 시베리아가 곡창지대로 바뀌는 긍정적인 측면을 떠올릴 수도 있지만, 실제 큰 문제는 안정적이던 지구 순환 시스템이 기온 상승으로 파괴되면서 상상할 수 없는 재앙이 닥칠 수 있다는 점이다. 온난화나 기후변화를 넘어 이제는 기후위기로 부르는 이유다.

예상되는 큰 재앙 중의 하나는 해수면 상승이다. 기온이 오르면 바닷물 전체의 부피가 늘어나고 게다가 빙하와 만년설이 녹으면서 엄청난 양의 물이 바다로 흘러 들어가므로 해수면이 오르는 것은 필연이다. 그린란드 같은 곳에서 만년설이 녹아 지표면이 드러나면 백색에 반사되던 햇빛이 대부분 흡수되기에 기온은 더욱 빨리 올라간다. 해수면은 지난 20세기에 이미 15cm 정도 상승했는데 온실가스 배출을 당장 급격히 줄이더라도 금세기 중 0.5m 더 상승할 수 있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2m를 초과할 것이라는 예측이다.

현재와 같은 기온 상승 추세라면 세계의 많은 해안 도시들은 가까운 미래에 침수 위험에 처할 것이다. 뉴욕이나 상하이 등이 베네치아 같은 물의 도시로 변할지도 모른다. 당연히 우리가 살고 있는 한반도, 즉 해안선이 길고 저지대가 많은 대한민국도 문제다. 기온 상승이 가속되면 21세기 말에는 완전 내륙인 충북 등을 제외한 우리 영토의 상당 지역이 침수 피해를 볼 것이라는 믿고 싶지 않은 시뮬레이션도 있다.

현재 투발루 외에도 태평양 마셜제도와 키리바시, 인도양 몰디브 등 다수의 섬나라가 해수면 상승으로 인해 국토가 잠식될 위기에 처해 있다.

인도네시아도 지반 침하와 잦은 침수 피해로 2019년 수도를 현재 자카르타에서 동칼리만탄으로 이전하는 계획을 2019년 발표했다.

현재 수도인 자카르타는 연간 1∼15㎝씩 지반이 내려앉고 있으며 도시의 절반 정도는 이미 해수면보다 낮게 위치한 것으로 알려졌다.

우리 정부와 해안 인접 도시들은 침수 위험을 심각하게 고려하면서 이를 제어하기 위해 진력해야 한다. 해안 보호 조치 및 홍수에 대비한 시설을 구축해서 지속 가능한 사회를 만들어야 한다. 특히 인천이나 부산 등 대도시에서는 해수면 상승으로 적어도 몇십만 명의 거주지가 바닷물에 잠길 수 있다. 지금처럼 계속 더워지면 서해의 수면 상승으로 2050년에는 서울 목동까지 물이 차고 인천공항도 침수될 것이라는 연구 보고도 있다. 이런 참담한 일이 생겨서는 안될 것이다.

남해도 물론 예외는 아니다. 그런 측면에서 막대한 예산이 투입되는 가덕도 신공항 사업 등은 여러 측면에서 치밀한 분석을 한 번 더 하면 좋겠다. 여야가 정치적 이익을 위해 가덕도처럼 특별법으로 예비타당성 조사도 뛰어넘겠다는 사업들의 총규모가 90조 원에 이르렀다고 한다. 눈앞의 이익만 좇는 정치인들 때문에, 모든 여건을 신중하게 검토해야 할 대역사(大役事)들이 이렇게 성큼성큼 진행되고 있다.지구환경은 우리가 죽고 사는 문제이다. 오는 4월, 우리는 필히 튼실한 미래를 위해 헌신할 국회의원을 선출해야 한다.

저작권자 © 새한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