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생활에 대한 정부의 정책적 배려가 요청된다. ‘서민 물가’ 급등으로 일반시민 생계가 위협 받고 있는 것이다. 새해 벽두부터 화장품과 가구 등 생활용품과 외식 메뉴 가격이 줄줄이 오르면서 물가가 들썩일 조짐을 보이고 있다. 농수산품과 공산품, 서비스 물가 모두 고공행진 중인 게 잘 보여주고 있다.
물가급등세는 올해부터 시간당 7530원으로 16.4%나 오른 최저임금이 물가불안을 부추길 것이라는 우려가 현실화되고 있다는 우려다. 당장 인상된 최저임금이 메뉴 가격에 반영되면서 외식물가가 출렁이고 있다. 외식 프랜차이즈 A업체는 2일부터 주요 메뉴 가격을 1000원씩 올렸다. 나머지 메뉴도 간격을 두고 추가 인상할 방침이다.
앞서 치킨 전문점인 KFC는 치킨, 햄버거 등 24개 품목의 가격을 평균 5.9% 올렸고, 놀부부대찌개와 신선설농탕도 주요 메뉴 가격을 5.3∼14% 인상하는 등 최저임금 인상을 전후해 소비재 업체들의 가격 인상이 잇따르고 있다. 최저임금이 대폭 오르면 많은 사업주가 인건비 증가에 따른 부담을 상품가격에 전가하려는 움직임이 나타난 결과다.

여기에 교통비와 하수도 요금 등 각종 공공요금도 연말부터 인상 대열에 앞 다퉈 끼어들고 있다. 서민들의 살림살이에 주름은 그만큼 더 깊어질 수밖에 없다. 그렇지 않아도 김영란법 시행으로 소비 심리가 다 가라앉았다고 야단이다. 그런데 물가까지 들썩거리니 가뜩이나 활력을 찾지 못하는 내수 경기가 더 얼어붙지 않을까 걱정이다. 사실 오랜 국내 경기 불황으로 소득이 줄고 내수는 위축될 대로 위축됐다.

대개 물가가 오르는 것은 경기가 좋아진다는 신호로 해석한다. 가계와 기업 등의 수입이 늘어나면 소비가 늘어나 물가가 오른다는 게 일반적인 이론이다. 하지만 밥상물가의 오름세가 멈출 줄을 모른다는 데 문제의 심각성이 있다. 지난해 연말부터 고공행진을 이어온 밥상물가가 여전히 강세를 보이고 있는 것이다.

생필품값 급등도 문제지만 국제 유가 상승에 따른 휘발유값, 대중교통 요금, 지자체의 하수도 요금 등 공공서비스 요금의 인상을 고려하면 서민들의 주름살은 더 깊어질 수밖에 없다.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는 그러지 않아도 힘든 서민생계를 더욱 고달프게 하는 ‘물가 급등’을 우선 안정시키는 데 정책 우선순위를 두길 바란다. 정치는 백성의 삶을 보살피는 데 있다. 문제인 정부 당국자들이 새겨들어야 한다.

저작권자 © 새한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