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화·분권화 시대에 지방자치는 점점 확대되는 게 시대 흐름이다. 지방자치가 확대될수록 평범하고 소소한 일상도 정치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게 된다. 지방정부 선출직들의 역할도 갈수록 더 중요해질 수밖에 없다. 오는 6월13일로 예정된 민선7기 지방선거가 더욱 중요한 이유이다.

무엇보다 지방정치를 제대로 보살필 수 있는 인물을 잘 선정해야 한다. 지역을 이해하고 이를 해결할 수 있는 식견, 성실성, 도덕성이 담보되는 인물을 내세워야 하고 유권자는 선택해야 하는 것이다. 유권자 관심이 절실한 것이다. 그런데 현실은 그렇지 못하다. 보름 남은 지방선거가 외교·안보 이슈에 묻히고 있다. 특히 메가톤급 뉴스가 며칠 새 남북과 북·미 사이에서 터져 나오며 지방선거에 대한 관심이 소멸되고 있다는 관측이다. 지방정부의 정책과 살림을 책임질 단체장과 지방의원 후보자들이 이러한 무관심 속에서 충분한 검증 없이 선거에 나서는 '깜깜이 선거'에 대한 걱정이 높아지고 있다.

각 정당은 5·26 남북정상회담, 다음달 12일 북·미정상회담 등 초대형 안보 이벤트가 지방선거에 미칠 영향에 관심을 최우선으로 두고 있다. '구도'만 남고 '인물'은 사라졌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는 것이다. 이런 틈을 타 중요 정당은 개혁 공천을 해봤자 주목받지 못할 것이라는 계산 아래 당선 가능성만 따져 공천하는 사례도 적잖다. 그래서 역대 지방선거에 비해 인물이 떨어진다는 비판도 받고 있을 정도다.

국가적 현안도 중요하지만 4년간 지방의 살림을 꾸려갈 지도자들을 뽑는 일 역시 소홀히 할 수 없다. ‘풀뿌리 민주주의’는 주민의 관심과 참여 없이는 성공하기 어렵다. 그동안 지방선거는 대체로 다른 전국 단위 선거보다 투표율이 낮았다. 국민의 절반이 투표장에 가지 않을 정도로 투표율이 50% 안팎에 머물렀다.

후보들 역시 깨끗한 정책대결로 선거운동에 임해야 한다. 상대를 헐뜯고 비방하는 흑색선전으로 지방자치를 진흙탕으로 빠뜨려선 안 된다. 여하튼 후보들이 올바른 공약을 만들고 실행 계획을 갖추고 있는지 판단하는 책임은 오로지 유권자의 몫이다. 두 눈을 크게 뜨고 생활 밀착형 공약을 약속한 후보를 우선순위에 올려놓고 검증해야 한다. 후보의 능력과 자질을 철저히 살피지 못하면 그 피해는 고스란히 유권자들에게 돌아간다. 자신보다 못한 후보를 뽑으면 그런 사람에게 지배를 받는 악순환이 반복될 건 불 보듯 훤한 일 아닌가.

저작권자 © 새한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