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벨상의 계절이 지나갔다. 하지만 한국인 노벨상 수상자는 없기에 아쉬운 마음 작지 않다. 노벨위원회는 10월 1일(이하 한국시간) 생리·의학상을 시작으로 물리학상, 화학상, 평화상, 8일 경제학상 수상자를 발표했다. 문학상은 내년으로 연기한다. 노벨상 부문별 수상자에게는 노벨상 메달과 증서, 900만 스웨덴 크로네(약 11억2천400만원)의 상금이 수여된다.

노벨상 수상은 개인은 물론 소속 국가에도 큰 영광이다. 인류를 위한 학문적 성취와 봉사, 헌신에 대한 ‘최고 권위의 공인’이기 때문이다. 아쉬운 점은 올해까지 노벨상 제정·시행 후 118년간 생리의학·물리·화학 등 과학 분야에서만 607명의 수상자가 나왔지만, 우리나라에서는 평화상 분야를 제외하곤 전무하다는 사실이다.

이웃 나라 일본은 지난 1949년 교토대학교 유가와 히데키 교수가 첫 노벨화학상 수상한 이래 올해 노벨 생리의학상의 혼조 다스쿠 교토대 교수까지 모두 27명(외국 국적 취득자 3명 포함)의 노벨과학상 수상자를 배출해냈다. 노벨과학상 수상 여부가 해당국가의 과학과 국력의 척도는 아니지만 세계 10위권 경제 대국으로 올라선 우리입장에선 유감이 아닐 수 없다.

비교대상인 일본은 우리나라에 비해 기초과학 분야에서 100년 이상의 전통을 가지고 있고, 한국은 기초과학 연구가 1990년대에 들어와서야 본격적으로 시작됐기에 아직 성장 과정이라는 지적은 틀린 게 아니다. 그러나 국내 대부분의 과학기술 연구 분야가 기초과학이 아닌 응용과학에 편중돼 있는 것은 시급히 개선돼야 한다.

노벨과학상은 인류를 위한 기여와 독창성을 가장 중요시한다. 이는 거꾸로 눈에 보이는 단기간 성과보다 꾸준히 바탕부터 뒤쫓아야 얻을 수 있는 연구 결과라는 것을 방증한다. 우수한 인재는 있지만 우리사회의 여건과 분위기가 세계적 경쟁력을 갖출 수 있는 과학인재들을 단순 기술자로 전락시키고 있다는 사실도 이제는 고백해야 한다. 정부와 사회에 만연한 고질적인 병폐인 성과주의부터 혁파해야 한다.

국회와 정부, 산업계가 이공계 인력 수준 제고에 나서, 국가경쟁력을 좌우하는 미래 성장동력을 한 단계 높여야겠다. 여기에는 두뇌들이 자긍심을 갖고 일에 매진토록 연구 환경과 처우 개선이 당연하다. 과학기술의 발전이 곧 우리의 미래라는 공동의제를 재인식하는 기회로 삼아야겠다. 국력을 모으자. 우리의 염원인 노벨 과학상은 부차적 산물로 거둬질 게 자명하다.

저작권자 © 새한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